흉곽의 세부 명칭
- 흉곽 흉곽은 흉골, 늑골, 흉추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흉곽의 속 공간을 흉강 이라고 하며 이곳에서 심장과 폐, 식도 등을 보호하고 있다. ※ 흉곽을 이루는 뼈의 구조 흉곽은 12개의 흉추, 12쌍의 늑골 및 1개의 흉골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새장과 같은 모양이며 앞벽은 흉골, 뒷벽은 흉추, 그 사이 외측벽은 늑골로 이루어져 있다. ① 흉골 가슴 앞벽 중앙에 있는 길고 납작한 편평골로 위에서부터 흉골병, 흉골체, 검상돌기로 구분된다. 흉골병 위 모서리에는 세 개의 절흔이 있는데, 위쪽 가운데는 경절흔이고, 그 양쪽은 쇄골과 결합하는 쇄골절흔이다. 외측 모서리에는 제1연골과 연결되는 늑골절흔이 있다. 흉골병과 흉골체가 결합하는 부분의 약간 두꺼워진 곳을 흉골각이라 하고, 흉골각의 양 쪽 모서리에는 ..
2021. 4. 29.
인체 골격구조의 척주(경추, 흉추, 요추, 천골, 미골)
◇ 인체 골격구조중 척주(경추, 흉추, 요추, 천골, 미골)의 구조 ※ 인체 골격구조의 척주 척주는 배부 중앙을 따라 내려가는 몸의 기둥으로서 26개의 추골이 쌓여서 만들어진다.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1개, 미골 1개로 구성된다. 다만 성인 이전의 추골은 천골 5개, 미골 3 ~ 6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모두 32 ~ 35개이다. 척주의 가운데는 비어있어 긴 관모양을 이루는데, 이것을 척주관이라고 한다. 척주관은 척수를 보관하는 장소이며, 위로는 후두골의 대후두공과 이어진다. 추골과 추골 사이에는 각 추골을 연결하고 몸을 움직일때 완충 작용을 하는 23개의 추간원판이 끼여있다. 척수는 추골마다 양쪽으로 신경가지를 내보내는데 이것이 척수신경이다. 척수신경은 추골과 추골이 합쳐져 이..
2021. 4. 17.
상완, 전완, 수부, 대퇴부, 슬부의 구분
▷ 체지체지는 상지(팔)와 하지(다리)로 구분된다. 체지의 각 세부적인 부위와 그 명칭에 대한 구분(안마, 지압 관련) ▶ 상지 상지(팔)는 측흉부의 양쪽 아래로 늘어져 있는 운동이 자유로운 부분이다. 상지는 상완부, 주부, 전완부, 수부로 구분되고, 각각 장측(전측), 배측(후측), 요측(외측), 척측(내측)으로 나눌 수있다. 1) 상완부 상완부는 어깨 끝에서 팔꿈치에 이르는 부분이다. 그 앞쪽과 뒤쪽에는 근육이 돌출되어 있고,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희미한 고랑인 척측이두근구와 요측이두근구가 있다. 상완의 상외측에서 견갑상부로 이어지는 곳, 즉 어깨의 가장 외측 끝에는 뼈의 돌출부인 견봉이 있고, 그 아래에는 세모모양의 삼각근부가 있다.- 이두근, 삼두근, 척측이두근구, 요측이두근구, 견봉, 삼각근부..
2021. 4. 11.
흉부, 복부, 골반부 구분
▷ 지압과 안마에서의 해부생리 흉부, 복부, 골반부 구분 ▶ 흉부 흉부(가슴과 등)는 경부의 아래로, 겨드랑의 앞과 뒤에서 아래로 그은 가상의 선인 전액와선과 후액와선에 의해 전흉부, 측흉부, 배부로 구분된다. 1) 전흉부 전흉부(가슴)는 양쪽 전액와선의 사이로, 앞가슴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전흉부의 중앙에는 흉골이 있어 흉골부라 하고, 그 양쪽 위에 가로로 뻗어있는 뼈는 쇄골로서 이 부분을 쇄골부라고한다. 쇄골의 아래쪽은 쇄골하부, 그 외측의 함몰부는 삼각흉근삼각이다. 젖이 있는 곳은 유방부, 그 아래쪽은 유방하부이다. 유방부의 중앙에는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2) 측흉부 측흉부는 전액와선과 후액와선의 사이로, 옆구리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측흉부의 위쪽과 팔사이에는 전신에서 가장 깊은 함몰부인 액와(겨..
2021.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