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치유 wellbeing Life73

대퇴사두근, 봉공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위치와 작용 - 대퇴부의 근육 대퇴부의 근육은 고관절과 슬관절의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들로서 전측의 신근군, 내측의 내전근군 및 후측의 굴근군으로 구분된다. ▶ 대퇴부의 신근 - 봉공근 대퇴의 전면에서 가장 천층에 있는 띠 모양의 긴 근육이다. 상전장골극에서 기시하여 대퇴 전면의 하내측으로 내려가 대퇴골 내측상과의 뒤를돌아 경골의 내측과와 경골조면의 내측에 정지한다. 대퇴를 앞으로 들어 올려 외전, 외측회전하고, 하퇴를 굽히고 내측회전하는 작용을 한다. - 대퇴사두근 대퇴의 신근군 거의 대부분을 이루는 강대한 근육으로서 하전장골극(대퇴직근), 대퇴골 조면의 내측순(내측광근), 대퇴골 조면의 외측순과 대전자의 뿌리 (외측광근) 및 대퇴골체의 전면 (중간광근) 등에서 각각 기시하여 모두 합쳐져 공동의 건이 되어 슬개골을 .. 2021. 7. 29.
골반 근육의(대둔근, 장요근, 중둔근, 이상근) 위치와 작용 ※ 골반부 근육의 위치와 작용원리 골반부의 근육은 하지대 및 그 주위에서 기시하여 대퇴골에 정지하는 근군으로, 하지대가 척주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자유하지골의 운동에만 관여한다. 골반근 또는 관골근이라고도 한다. 골반부의 근육은 내골반근과 외골반근으로 구분된다. ▶ 내골반근 내골반근은 골반강의 측벽을 구성하고, 둔근막에 덮여 있다. 장요근이 이에 속하는데 세 개의 근육, 즉 장골의 내면을 이루는 장골근, 대요근, 소요근이 있다. - 장골근 부채 모양의 근육으로, 장골릉과 장골와에서 기시하여 내측으로 가서 대요근과 합쳐져 장요근이 되고. 이어서 서혜인대 밑을 지나 대퇴골의 소전자에 정지한다. 고관절의 굴곡, 즉 대퇴를 앞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 대요근 방추형의 근육으로, 제12흉추~제4요추의.. 2021. 7. 20.
전완부 근육(요측수근굴근, 완요골근, 장장근) 팔은 팔꿈치를 중심으로 윗부분을 상완, 아래쪽을 전완이라고 한다. 전완부의 근육 전완부의 근육은 전측의 굴근과 후측의 신근군으로 구분된다. 굴근군은 내측 및 장측에, 신근군은 외측 및 배측에 있다. 손목관절에 작용하여 손과 손가락 움직임에 관여한다. 팔의 신경은 요골신경, 정중신경, 척골신경이 있다. *굴근 : 전측(내측 및 장측) *신근 : 배측(외측 및 배측) ▶ 전완의 굴근 전완의 굴근은 주로 손목이나 손가락을 굽히는 근육들이다. 천층에는 원회내근, 요측수근굴근, 장장근, 천지굴근, 척측수근굴근이 있고, 심층에는 심지굴근, 장무지굴근, 방형회내근이 있다. 천층의 근육들은 모두 상완의 내측상과에서 공동으로 기시하고, 심층의 근육들은 척골과 요골의 전면에서 기시하여 손에 이르고 있다. *굴근의 천층 :.. 2021. 7. 19.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의 작용 상완부의 근육 상완부의 근육은 내·외측상완근간중격을 사이에 두고 앞쪽의 굴근군과 뒤쪽의 신근군으로 구분된다. 굴근군(굽힘)으로는 상완이두근, 상완근, 오훼완근이 있고, 신근군(폄)으로는 상완삼두근과 주근이 있다. 이 중 오훼완근을 제외하면 모두 주관절의 운동에 관여한다. *굴근 : 상완이두근, 상완근, 오훼완근 *신근 : 상완삼두근, 주근 - 상완이두근 상완이두근은 방추형으로 견갑골의 관절상결절과 견갑골의 오훼돌기에서 각각 기시하여 내려가면서 합쳐져 강한 근복을 이루고, 대부분 요골조면, 일부는이두근건이 되어 전완근막에 정지한다. 주된 작용은 전완의 굴곡과 회외이지만 상완의 굴곡 작용도 있다. 이 근육은 주관절을 굴곡하면 상완의 앞쪽에서 근복이 뚜렷하게 돌출된다(일명 알통). - 상완근 상완근은 상완이두.. 2021. 7. 18.
회전근개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의 작용 - 상지의 근육상지의 근육은 견갑부의 근육, 상완부의 근육. 전완부의 근육, 수부의 근육으로 구분된다. ▶ 견갑부의 근육견갑부의 근육, 즉 견갑근은 견갑골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에 정지하는 근육들로 견관절의 운동에 관여한다. 삼각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대원근 및 견갑하근이 견갑근에 속한다.- 삼각근삼각근은 견관절의 전·후·외측면을 덮고 있는 근육으로 쇄골의 견봉단, 견갑골의 견봉과 견갑극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삼각근조면에 정지한다. 전체가 작용하면 상완을 외전하고, 전측이 작용하면 굴곡, 후측이 작용하면 신전한다.- 극상근극상근은 견갑골의 극상와에서 기시하여 견봉 아래를 지나 상완골의 대결절에 정지한다. 삼각근을 도와 상완을 외전하고, 극하근, 소원근과 더불어 상완을 외측회전하는 작용을 한다.- 극.. 2021. 7. 5.
대흉근, 소흉근, 전거근의 위치와 작용 흉부의 근육 흉부의 근육은 흉곽의 전면과 외측면에 있는 근육들로, 천층과 심층의 근육으로 구분된다. 천층의 근육은 상지의 운동에 관여하고, 심층의 근육은 늑골의운동과 관계가 있다. ▶ 흉부 천층의 근육 흉부 천층의 근육은 흉벽의 피하에 있는 근육들로, 흉곽의 전벽에서 기시하고 상완골, 쇄골, 견갑골에 정지하며, 상지의 운동에 관여한다. 이에는 대흉근,소흉근, 쇄골하근 및 전거근 등 4종이 있다. - 대흉근 대흉근은 흉곽 전면의 강대한 근육으로서 쇄골의 내측 2/3, 흉골과 제1~6늑연골, 복직근초 등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대결절릉에 정지한다. 상완을 내전, 내측회전하고 늑골을 끌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이 근육은 소흉근과 같이 액와의 전벽을 구성한다. - 소흉근 소흉근은 대흉근에 덮여 제3~5늑연골의 전단.. 2021. 7. 4.
배부의 근육(승모근, 능형근, 광배근, 견갑거근, 판상근) 작용의 원리 배부의 근육은 후두부에서 미골까지 인체의 배면에 길게 걸쳐 있는 근군으로, 천층의 근육과 심층의 근육으로 구분된다. 1. 배부 천층의 근육 배부 천층의 근육은 배부의 천층에 있고, 주로 견부와 상완을 움직이는 작용을 한다. 이 근군은 2층으로 나누어지는데 표층은 승모근과 광배근으로, 심층은 능형근과 견갑거근으로 되어 있다. - 승모근 승모근은 삼각형이며, 반대쪽과 합쳐 마름모 모양이 된다. 외후두융기, 상항선, 항인대, 모든 경추와 흉추의 극돌기에서 기시하여 상부 근속은 하외측, 중부근속은 거의 수평, 하부 근속은 상외측으로 간다. 상부의 근속은 쇄골의 외단에, 중부 근속은 견봉 및 견갑극에, 하부 근속은 견갑극의 내측에 정지한다. 전체가 작용하면 견갑골을 척주에 근접시키고, 상부만 작용하면 견봉을 들어.. 2021.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