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유 wellbeing Life/인체의 근육

등근육, 팔저림 통증 원인(흉쇄유돌근, 사각근의 작용)

by 뿌리깊은나무N 2021. 6. 19.
반응형

경부의 전측과 외측에 있는 근군으로서 천층의 근육, 설골근, 심층의 근육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근군은 머리와 목을 움직이고 호흡, 발성, 음식물 삼킴 등의 작용을 한다.

등근육, 어깨, 목 통증 팔저림 원인(흉쇄유돌근, 사각근)

1. 경부 천층의  근육

- 흉쇄유돌근
흉쇄유돌근은 경부의 외측에 있는 근육으로, 흉골병 상단과 쇄골 내단의 1/3에서 기시하여 유양돌기에 정지한다. 부신경과 경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고 있으며, 머리를 돌리는 데 중요한 근육이다.

 

한쪽이 작용하면 턱이 약간 올라가면서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리며, 양쪽이 동시에 작용하면 머리를 전하측으로 끌어당긴다.

 

출생 때 난산으로 인하여 이 근육의 어느 한쪽이 손상되면 목이 비틀어지는 사경이 된다.

 

거북목과 같은 자세 변형이 일어날 경우 흉쇄유돌근의 정지점인 유양돌기가 기시점인 흉골과 쇄골 부위로 가까워지면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변형이 발생한다.

 

- 광경근
광경근은 전경부로부터 측경부에 걸쳐 피부 바로 밑으로 달리는 목에서 가장 얇은 한 쌍의 근육으로서 표정근에 속하고 안면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견봉과 제2, 제3늑골의 앞 끝을 연결하는 선에서 기시하여 하악골연을 지나 안면 아랫부분에 정지한다.

 

전경부의 피부를 긴장시키고, 목에 주름을 만들며, 구각을 아래쪽으로 당겨 슬픈 표정을 짓게 하는 작용을 한다.

 

- 상부 승모근
상부 승모근은 주로 어깨 영역에서 견갑골의 움직임을 만들어주는 주요 근육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지점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 후두골에 붙어있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목의 신전을 돕는다.

 

 

경부의 근육(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 완신경총, 쇄골하동맥)등근육 통증, 어깨 근육통증, 목근육 통증 원인

2. 경부 심층의 근육

경부 심층의 근육은 경부의 외측면과 전면에 세로로 있는 근군으로서 경추와 상위 늑골 사이에 있어 이들의 운동에 관여한다. 외측의 근육인 사각근과 척주 앞쪽의 근육인 경장근이 이에 속한다.

- 사각근
사각근은 경부의 외측, 견갑거근의 앞에 있는 세 쌍의 근육으로, 전·중·후 사각근이 있다.

 

전사각근은 제3~6경추의 횡돌기에서 기시하여 제1늑골에 정지하고, 중사각근은 제2~7경추의 횡돌기에서 기시하여 제1늑골에 정지하며, 후사각근은 제5~7경추의 횡돌기에서 기시하여 제2늑골에 정지한다.

 

*전사각근, 중사각근 정지부(운동점) - 1늑골(갈비뼈)
*후사각근 정지부(운동점) - 2늑골(갈비뼈)

 

늑골을 끌어올려 흡기를 보조하고 목을 측굴하는 작용을 한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과의 사이에는 제1늑골의 상연 바닥으로 한 삼각형의 틈, 즉 사각근극이 있어 완신경총의 가지와 쇄골하동맥이 지나가고, 쇄골하정맥은 전사각근의 앞으로 지나가는데 이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점이다.

 

사각근은 머리와 목의 양옆에서 당김줄 역할을 수행하며 머리와 목의 정상적인 위치 유지와 경추를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각근이 단축될경우 상완신경총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증상 및 쇄골하동맥을 압박하여 혈액공급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때문에 사각근의 정상적인 길이와 상태를 유지하는것이 중요하다.

 

근육의 경직으로 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에 압력이 가해지면 팔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신경과 혈관이 압박을 받게 될 경우에 흉곽출구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거북목과 같은 자세변형이 발생할경우 구조적으로 중사각근, 후사각근에 비해 전사각근의 기시점인 경추3-6번이 갈비뼈 1번의 전방부위로 가까워 지면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변형이 발생한다. 사각근의 단축은 거북목 뿐만아니라 머리가 한쪽으로 기우는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

 

 

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 완신경총, 쇄골하동맥에 의한 목, 가슴, 등, 팔저림 통증 원인

3. 사각근의 중요성과 통증의 이해

 

목을 뒤로 후굴(젖힘)하거나 옆으로 측굴할때 통증을 유발하여 그 부위가 경부(목), 흉부(가슴), 배부(등), 팔 등과 같은 다양한 양상으로 통증이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목 디스크에 의한 통증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각근에 의한 만성적인 목, 어깨, 팔, 손저림이나 통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사각근은 목 양쪽의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사이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으로 네모 모양이라서 사각인 아닌, 경사진 뜻의 사각근이다. 이처럼 근육과 근육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촉지하기 어렵다.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은 1늑골(갈비뼈)에 정지하므로 손으로 정지 부위 근육을 만질 수가 있으나, 후사각근은 2늑골(갈비뼈)에 정지 하기 때문에 손으로 촉지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근육의 경직된 부분을 제대로 풀어주고자 한다면 전문가가 아니면 마사지하기 어렵다.

 

위 이미지에 보이듯이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로 중요한 조직이 지나가게 되는데, 상지(팔)로 내려가면서 감각과 운동 신경을 지배하는 상완신경총과 동맥의 근간이 되는 쇄골하동맥이 자리하고 있다. 사각근이 수축이나 긴장으로 인해 경직 되면 상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을 압박하여 신경이나 혈의 흐름이 원할하지 않아 배부(등)나 상지(팔), 손 또는 흉부(가슴)의 통증과 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사각근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이라 하는데, 세부적으로 분류를 하거나 동일하게 취급하기도 한다.

흉곽출구증후군
흉곽상부에서 상완신경총이나 쇄골하동맥이 압박되어 상지에 순환장애나 신경증상이 생기는 것을 총칭한다. 첫번째 늑골, 쇄골과 견갑골의 상연이 형성하는 삼각공간을 흉곽출구 라고 하며,과 이 흉곽 출구 부위에 지나가는 신경과 혈관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사각근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의 하나로서 목 옆쪽 사각근 근육이 경직되면서 신경을 눌러 팔과 손에 저림 현상을 유발한다. 경추횡돌기에서 나와 제1늑골에 붙는 사각근의 수축, 긴장 때문에 쇄골하동맥과 완신경총이 압박되므로 처진 어깨의 여성에게 많다. 상지 특히 전완, 손, 손가락의 통증, 마비감, 지각이상 등을 가져온다. 손가락의 냉감, 청색증, 발한 이상등을 수반하는 수도 있다. 자세의 지도, 목이나 어깨의 근력증감, 온염요법 등, 보존적 치료를 해도 효과가 없을 때 사각근 절단술을 행한다.

목 양옆에 자리 잡은 근육인 사각근은 호흡을 원활히 하고 목을 측굴하는 역할을 하는데, 지나친 긴장으로 압박을 받게 되면 목이 경직되고 팔이 저리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증상들이 사각근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인데 목 디스크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손이 붓거나 혈류가 제한되는 등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꾸준한 스트레칭과 치료가 필요하다.

 

사각근 위치

4. 사각근 문제발생 원인 


사각근증후군은 대부분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에서 비롯된다. 3가지로 크게 분류를 해보면 바르지 못한 자세, 바르지 못한 수면 습관, 바르지 못한 호흡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바르지 못한 자세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모니터가 본인의 시야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해 있거나 턱을 괴고 오랜시간 보는 행동 등은 사각근 증후군이 생기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어깨에 무거운 가방이나 짐을 오랜시간 메고 다니면 어깨측의 하방 압력에 의한 신경조직이나 혈관의 압박으로 사각근증후근이 발생할 수 있다. 

- 바르지 못한 수면 습관

자신의 체형보다 너무 낮은 베게나 높은 베게를 사용한다거나, 한쪽 옆으로 눕는 자세, 또는 엎드려서 한쪽 고개를 돌리고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는 매우 좋지않은 수면습관으로써 목이나 상부 근육들에 손상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 바르지 못한 호흡

사각근은 늑골(갈비뼈)을 끌어올려 흡기를 보조하기 때문에 흉곽을 들어올리는 흉식 호흡을 하게된다. 가슴을 들썩이며 숨을 쉬는 흉식호흡은 주로 여성들의 흔한 호흡이고, 남성은 보편적으로 복식호흡을 하게된다. 숨을 쉴 때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활용하고 허리 건강에 좋은 호흡법은 복부의 수축과 팽창의 복식호흡이다. 가슴으로 숨을 쉬는 흉식호흡은 사각근이 지속적으로 수축과 긴장을 하게 되므로 힘의 비효율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증후군은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 사각근이 아닌 소흉근 문제

 

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은 쇄골하단 흉부의 소흉근을 지나기 때문에 소흉근의 수축과 긴장에 의한 압박으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통증이 있는 팔을 위로 들어 올리면 사각근은 다소 느슨해지고, 소흉근은 긴장되어 신경과 동맥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팔을 위로 올렸을때 팔 또는 등쪽으로 향하던 통증이 사라지면 사각근증후군이고 통증이 심해지면 소흉근에 의한 흉곽출구증후군이라 할 수 있다.

 

사각근의 마사지 위치

※ 예방 및 치료

 

병원에서 문제가 발생한 사각근의 사각근절제술을 시행 할 수 있으며 수술 예후가 모든 사람에게 긍적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마사지 요법으로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사각근을 수지로 자극을 주어서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면 된다. 마사지 위치 지점은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사이의 쇄골상연 함몰부를 눌러 압통점을 찾아 부드럽게 마사지를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목을 뒤로 후굴(젖힘) 하였을때 목과 등, 견갑골(날개뼈) 옆으로 깊이 타고가는 통증이 있다면 후사각근을 마사지 해주면 상당히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사각근 스트레칭

사각근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자세로 앉는 것이 중요하고 항상 목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각근의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은 한손으로 측두부 잡고 머리를 어깨쪽으로 강하게 당겨주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머리를 돌려주는 방법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면 좋다.

 

사각근 하단을 수지로 누른 상태에서 위 이미지처럼 목을 반대편으로 꺽은 후 머리를 돌려주는 방법도 있다.

 

사각근의 올바른 스트레칭 방법은 늘린 근육의 반대쪽 머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숨을 내쉬면서 길게 10초이상 3세트를 늘려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 point

사각근의 손상은 주로 목 뒷부분이 경직되고, 팔이나 손으로 내려오는 통증이나 저림이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내려오는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증상이 지속되면 손이 붓고, 방치할 경우에는 불면증, 이명 등이 생기거나 심장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목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사각근증후근은 양팔을 들어 올려, 뒤로 가볍게 당겼을때 통증이 있다면 사각근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목과 어깨 통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근육은 사각근과 견갑거근이라 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견갑거근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반응형

댓글